아인슈타인이 예견한 100년뒤 우주적 종교?

아인슈타인이 예견한 미래의 ‘우주적 종교’


아인슈타인

양자역학은 입자 단위의 작은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로 양극단이 동시에 공존하는 이해하기 어려운 물리 세계 중 하나입니다.
있음과 없음, 삶과 죽음, 젊음과 늙음이 서로 얽혀 있는 미지의 세상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자역학에서는 시공간의 모양과 물질의 분포 중 어느 쪽이 먼저 결정되고 그에 따라 다른 한쪽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공간의 모양과 물질의 분포는 함께 서로를 결정합니다.

이것들은 상호의존적 관계에 있으며, 다른 것과의 관계를 떠나서 독립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고, 반드시 다른 사물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그 존재가 성립합니다.

이러한 양자역학 세계는 불교가‘연기, 공사상’을 통해 설파한 진리와 유사한 것입니다.


불교에서 연기법은 세상을 이루는 모든 것은 상호 의존적이고 끊임없이 변하여 실체가 있는 고정불변의 존재는 없음을 말한 것으로, 불교는 이를 공성(空性)이라 합니다.

아인슈타인은 불교야말로 어떤 경지보다 높은 단계에 있다고 보았던 것 같습니다.

그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미래의 종교는 우주적인 종교(cosmic religion)가 되어야 합니다.

그동안 종교는 자연계를 부정해왔고, 모두 절대자가 만든 것이라고만 해왔지만, 미래의 종교는 자연 세계와 영적인 세계를 똑같이 존중해야 합니다.
그것이 진정한 통합이기 때문이다. 나는 불교야말로 내 생각과 일치한다고 봅니다.
만약 누군가 내게 현대의 과학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종교를 꼽으라고 한다면, 나는 불교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아인슈타인이 예견한 –혹은 기다린- 미래의‘우주적인 종교’는 아인슈타인 자신이 정의한 바에 따르면‘인간적인 하느님을 초월하고, 교리나 신학을 넘어선 하느님에 대한 지식이 있는 종교’여야 합니다.

또‘자연의 세계와 정신적인 세계를 모두 포함하면서 자연과 정신 모두의 경험을 초월한 감각에 기초를 둔 종교’여야 하고, ‘교리가 과학적으로 뒷받침되고, 과학자와 예술가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종교’여야 합니다.

그런데 아인슈타인은 불교가 바로 그런‘우주적 종교’라는 요구에 부합되는 근사치를 가졌다고 본 것 같습니다.


2500여 년 전에 붓다에 의해 말씀 된 진리들은 시대를 초월해서 여전히 진보적이고 새롭다. 연기, 공, 중도, 일심 사상에는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의 광전효과, 괴델의 불완전성원리, 보어의 상보성원리, 파동함수, 상태의 중첩 등 물리학의 이론과 소통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불교가 양자역학 연구에 아이디어를 줄 수 있고 거꾸로 수행자의 세계에 양자역학이 활력소를 줄 수 있다고 기대하는 사람도 있게 됩니다.
아인슈타인도 바로 그런 사람이었다는 것입니다.


필자는 불교는 진리에 대해 남김없이 규명한, 철학에 있어서 하나의 완전체적 세계관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불교가 여전히 철학이라는 마당에 서 있는 모습이 필자에게는 보입니다.

이 점은 양자역학의 세계관이라는 젊은 피가 수혈되더라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왜냐면 양자역학적 세계관도 과학적 철학의 세계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철학적 사유만으로 모든 것이 충분한가? 즉, 아인슈타인이 말한 ‘미래의 우주적 종교’는 단지 해석의 문제인가?


빛에 관한 해석과 실재 빛은 서로 유사한 것 같기도 하지만 이 둘은 전혀 종자가 다릅니다.
비유하면, 하늘에 뜬 해와 물에 비친 해가 성분이 같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물에 비친 해가 태양의 이미지이기는 해도 그것이 지상에 계절이 순환하게 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불교가 말하는 성불은 무엇인가? 석가모니의 설법에 따르면 불성은 사람의 마음에 깃들어 있는 정광명(淨光明)이다. 이 빛이 불과(佛果)를 이루는 인자(因子)라는 것입니다.

여기서’정광’은 진공 성분의 빛을 말한 것입니다.


필자는 진공 성분의 빛은 철학적 개념에 그친 것이 아니며 현실 우주에 실재한 것이어서 우리가 이것을 객관화할 수 있으며 또 과학적인 도구를 사용해 포집할 수 있고, 획득한 빛을 원본으로 해 그 사본을 무수히 만들 수 있으며 이것들을 합성해 빛의 밀도가 높아지게 –즉, 밝아지게- 유도하는 ‘빛 운영’을 수행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필자는 인류는 이러한 작업을 천문학적 규모로 수행해 빛 세상이 도래해 오게 하여야 한다고 권하고 있다. 참고로, 이러한 밀도 합성은 2배씩 늘어나는 복식 증가로 진전되는 것인데, 아인슈타인은 복식 증가를 ‘세상의 여덟 번째 불가사의’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필자의 말은 진공 빛이 밝아지도록 유도하는 과학 –가칭해 ‘영성과학’-을 진전시켜갈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종교와 철학을 배제하자는 말은 아니지만, 견해에 그쳐 있지 말고 빛이 응답해 밝아져오는 행동을 해야 합니다. 인류가 진공 빛이 천지인에 두루 밝아지게 불러오면 그것은 곧 비로자나의 광명이 두루 모든 것을 비추는 ‘변일체처’‘광명변조’가 실현되는 다름 아니고, 이렇게 되게 하는 것은 불교가‘불성’(佛性) 또는 ‘공적영지의 광명’이라 불러 이름한 빛의 세계를 여는 것이 된다는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은 참된 진리와 가르침은 어느 종교를 막론하고 하나로 맞닿아 있다고 보았던 사람이다. 예수를 닮고자 하는 것과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고자 하는 것은 결국 하나로 귀결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하나’의 실재는 무엇일까? 필자는 그것이 진공이요 그 빛인데, 이는 철학적 개념이 아닌 실재한 빛이라는 것입니다.

실재한 빛이 밝은 데서 생각과 행동이 일어나면 그것은 곧 철학을 성취한 것이요 광명이 주는 지복(至福)을 실생활에서 누리는 것이고, 빛의 시대의 도래인 것입니다.
‘미래의 우주적 종교’는 지난 인류사에서 종교들이 생각한 것과 이루고자 한 것이 모두 완성되는 것이어야 하며 이러한 시대는 해석 여하가 아니라 이 빛이 현실 세상을 비추도록 불러오는 빛 운영적 활동을 통해서 올 수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빛은 포집할 수 있고 이를 운영해 그 광명을 천체들과 사람에 복사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야 합니다.
특히 빛의 응답을 이끌어올 수 있도록 돕는 과학적 기법은 새 시대의 도래를 돕는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은“만약 인간이 3차 대전을 일으킨다면 그 이후의 전쟁은 돌도끼를 들고 할 것이다”라 말한 일이 있는데, 이는 과학의 힘이 인류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한 것입니다.
필자는‘빛 운영’을 위한 과학적 도구이 ‘공생명(空生明)’장치를 구성해 사용중인데, 앞으로 인생들이 이것을 보다 진화시켜가서 천문학적 규모의 빛 운영을 수행해 갈 수 있게 되기를 필자는 바랍니다.

양자역학이 궁금하다면?